핸드폰/앱 소개

Battery Guru(배터리구루) 안내 - 250315

Apious 2025. 3. 16. 00:53
728x90
728x90

Battery Guru(배터리구루) 안내 - 250315

 

*스토리

핸드폰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초기 구매 이후,

내 폰의 배터리가 없을 것에 대한 걱정이 조금이라도 생길 것 같아요

우려 없이 쓰다가도 어느순간 50, 30, 20퍼 일때 아주 조금은 불안감이 있겠죠?

 

그래서 초기 구매 후 Android OS의 학습이 끝난 후에,

공식, 포럼 등에 관련 안내된 "공식 사용시간" 과 실 패턴에 따른 사용시간이 아주 궁금해요

그래서 2년.. 아니 그 이전이니 약 5년전 ? 부터 사용 했던 gsam 앱을 소개한 시점 부터

찾아 사용 했던 앱을 소개 합니다

 

아쿠 배터리도 있지만 설명과 추가 앱 서비스 등에 소모량을 더 촉구 시키는 부분과 표시 형식의 복잡성 덕에

많이 알려 졌지만 쉽지 않는 표시 형식과 계산법에 실 사용 3일만에 버렸네요

이후 구버전을 저번달까지 꾸겨 사용하다가 새 버전은 어떨지 의문에 실 사용한지 1주일 만에 추천 때리게 되었습니다


*한동안 느슨해져 순삭 게시 형식만 남겼던 점에 오랜만 아픈김에 나른하기도 하고 글쓰기 좋겠다 싶어서

 새로운 것과 기존의 내용을 포스팅 하는 시간을 가져 봤네요



[안내]

  1. 최소 3일 기록으로 만충(100퍼) 일때 내 패턴의 사용가능 시간 표시
  2. 충전량을 측정
  3. 앱 사용량, 소모율
  4. 블투 배터리 상태
  5. *Doze / Android의 절전기능으로 Deep Doze(최대 절전, 수면이라는 명칭), Doze(절전) 으로 2가지

[설명]

  1. 매일 기준, 100퍼 만충(만충 알림으로 해제) >> 20퍼까지 사용을 3일간만 적용, 3일 후 분석에 [[만충일때 예상 사용 시간]] 평균치는 내 사용 패턴 기준
  2. 충전 아답터 다양한 포트나 종류별, usb-a (일반 usb), c to c 케이블 별로 충전량이 ma로 표시되며, qc3 = 1500ma(최대), pd 65w = 약 4~5000ma 이상, 화면 꺼짐의 경우 2초 후 켜보면 꺼졌을때 충전량 최대치가 나오는 걸로 확인
  3. 앱 별로 소모된 전력량은 그런갑다 쳐도 안드 설정의 안내된 배터리 보다 더 자세히 나와 있는 수치 보다 계산 되어 있기 때문에 mah 배터리 용량(보배 2만을 분할?) 을 사용한 시간(메모리가 작든, 크든 할당된 상태에 cpu가 돌아간 시간 카운트)을 보면되지만 애매하면 내가 자주 사용하는 런처, 기본홈, 메신저, 전화, 브라우저, 카톡 등의 앱을 기준으로 참고
  4. 테스트이긴 하지만 플레이어의 앱 사용시간과 블투 이어폰 사용시간을 고려한 남은 배터리 상태를 고려하심 됩니다.  아직은 개발자가 자료 수집해서 계산 후 지금의 앱 처럼 소모량을 보여주지 않을까 싶네요 // 전 약 1시간 스포티파이를 재생 후에도 이어폰 배터리가 100퍼인걸 보고 깜놀하긴 했어요 (블투5.3), 저지연 해제의 일반 상태, Qcy이어폰(약 2년차)
  5. *이 기능의 빠른 진입으로 빠지게 하고, 실제 화면 켜서 사용 가능 시간을 길게 해주는 역할이며, 핸폰이 idle 상태가 될수록 대기로 내폰 사용시간이 증가 합니다. // 안드의 알림은(안드 기본 알림 서비스 = FCM, GCM) 등의 화면 켜짐이나 내가 폰을 켰을때 해제 됩니다. 그래서 배터리 소모율엔 [화면켜짐, 화면꺼짐] 으로 구분되는 이유 입니다

이름 : Battery Guru / 개발자 Paget96 / 인도네이시안으로 #배터리선생

버전 : v2.3.17

언어 : All / 한글은 배터리 Doze(절전, AndroidOS의 자체 절전) 설정은 영문, 이해가 안되지는....?

테스트 : 구버전 약 5년 이상, 새 버전 2주

결과 : 그냥 설치 ㄱㄱ

이미지 >>

스샷과 함께 추가적 설명이 있어요. 이해 안됨 댓글 문의 ㄱㄱ

 


여기까지가 구버전 이었고 아래 부터는 신 버전 입니다


 

*메인 화면 기준으로 번호를 적용 했어요

*각 메뉴별 [ > ] 눌러 자세한 상태 확인

  1. 배터리 정보 / 충, 방전 표시
  2. 전류 / 충, 방전량
  3. 진행 중 / 현 상태
  4. 배터리 온도 / 온도 그래프
  5. 배터리 상태 / 배터리 건강 상태 등의 과 충, 방전 등의 사이클 기록 세부사항
  6. 통계 / 만충(완충) 에서의 평균 사용 기준치 / 화면 표시가 끝
  7. 기록 / 날짜별 자세한 기록으로 충, 방전 / 방전중 사용한 앱의 배터리 소모율 등등
  8. 추가 / 블투 배터리, 배터리 절약모드Doze(절전, 설정, 세부 설정), 웨이크락(알림의 의한 깨움, 내가 직접), 오버레이(이동되지 않아 비추), idle log(유휴 상태의 기록)

 

*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설정은 위와 같이 적용 해줍니다

*첫 설치 이후엔 [설계 용량] 배터리 용량이 자동 측정되서 적용되요

  1. 앱 재구성은 현 화면이 싹다 초기화
  2. 권한 관리자 - 가장 중요, 모든 기능 활성화로 adb 필수. [무선 디버깅] 쉽게 되며 꾹 눌러 명령 복붙.
  3. 테마 - 편의대로
  4. 알림 아이콘 - 상단바에 표시되는 아이콘 형식 / 온도 추천
  5. 보안 잠금 화면에 표시 - 안될수도 있으나 갤럭시는 다 됨, 포코의 경우 잠금화면 권한의 테마에 따름
  6. 이건 상단바에서 ^ 눌러 표시되는 세부 항목인데 모두 체크 권장
  7. 기타 - 정보 수집 후 전송으로 편의대로~

 


 

- 무선 디버깅이나 PC의 AppControl 적용해도 됩니다, 일부 눌러서 권한 활성화 필요

 

- 메인의 8번 [추가] 항목의 부 메뉴 1~5를 참고 하세요

  1. 블투 장치의 배터리 > 개발자가 일부 정보 수집후 개선으로 블투 기기의 배터리 소모율 측정 예정으로 보임
  2. 웨이크락 - FCM, GCM = 안드 알림 서비스의 의해 내가 설치한 앱의 반응으로 핸드폰의 화면 켜짐등의 기기 깨움 기록
  3. idle log - 유휴 상태의 기록
  4. 배터리 절약 모드 - 구버전의 Doze 설정이 여기 다 있음. 이 앱의 표시된 시간 계산 이외에도 중요한 부분
  5. 오버레이 - 위치가 고정에 이동성이 되지 않아 그닥.. 추후 개선 된다면?

- 테스팅 중이며, 블투 연결로 실행한 앱의 사용시간에 연결된 기기의 남은 배터리 상태로 예상 하시길

 

- 안드 버전에 따라 안드의 기록된 로그를 수집, 미 기록은 안드에 로그가 반영되지 않거나 없어서 일 수 있어요

- 보이는 대로 기기의 유휴와 다시 기기 화면이 전원을 눌러 내가 직접 깨운 것과, 알림이 깨운것의 기록

- 4번의 배터리 절약모드(Doze 설정) 으로 빠른 진입이 되도록 유도해주는 역할을 하지만 세부설정은 모를 경우 PASS

- 이하 설정은 폰이 잠겼을때 Doze가 아닌 제조사의 "절전모드" ON/OFF 를 컨트롤, 갤럭시 폰의 경우 잠금 상태의 절전모드ON 으로 적용하는 기능의 어디~까지(폰 제조사의 상단바 내린 절전모드 스위치) 인데 잘 적용하면 유휴로 알림도 받으면서 사용가능한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어요 / 폰 마다 다르며 별도 테스트가 필요 합니다. 내 사용 패턴 방식

- 빨강 5번을 눌러 구성을 진입으로 설정

- 이 설정의 한글화는 아직 이해를 못해서 인지 한글화 참여자가 일부분만 사용한 사람이 참여한게 아닐까 싶네요

 

- 빨강 5번의 도즈(안드 자체 기능의 Doze = 절전으로 Deep Doze, Doze 구분) 설정

1. 공격적 도즈 진입 - 즉시 유휴 상태로 빠지게 해서 폰 화면 꺼짐에도 대기 시간이 늘어남

2. 매개 변수를 다시 적용 - 하단의 고급 Doze(=수면) 설정의 숫자 반영

3. 잠금 해제 대기 - Doze 진입해도 알림이나 전원을 직접 눌러 깨우는 것에 [화면켜짐] Doze 탈출

컴터로 보면 절전 상태를 전원 눌러 깨우는데 메모리 로딩의 지연 등이 있는데 안드는 티는 안나지만 빨리 꺠워 빠르게 사용하도록~

 

*Doze 는 구글 안드로이드 OS의 정책

 

- 5번 오버레이 / 딱히 뭐 별건 없고 위치 고정이라 그닥

 

- 메인 화면의 1번 - 자세한 설정으로 언제 충전, 방전의 어떤앱이 소모율이 큰이 등이 잘 나와 있고 바를 눌러 표시도 해줍니다 24시간 기준이 아닌 [마지막 충전100% 이후] 기준으로 보심이 좋아요

아래 화면 처럼

 

 

 

- 위의 메뉴의 1번의 알람을 들어가면 주황 1+2는 적용 하심이 좋아요 / 실제 겜의 무거운 것을 돌릴 경우 극심한 경우 알림이 뜹니다

- 전 여기서 만충의 경우 알림이 띵 하고 뜨고 땡이지만 Buzzkill 앱으로 알림을 자동화 해놨어요 / 진동, 알림 방식을 정할 수 있어 만충에도 놓치는 경우 없도록 해놨어요

*BuzzKill 알림 자동화 기능 앱인데 아직 포스팅 예정이며 활용도가 아주 좋습니다 / 알림에 따른 작동을 원하는대로

 

- 7번의 기록인데 내폰의 충전의 충전량, 시간, 자세히 나오며, 방전의 소모율 큰 앱의 ma 수치와 시간과 % 표시해

누구나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해주며 사용 빈도를 보여 줍니다

 

*단 메모리가 큰 것과 달리(구형 폰) 메모리 누락이 아닌 메모리 할당이 커도 실제 cpu를 가용한(사용) 한 것에 따른 기록으로 배터리 소모 영향력이니 [ 설정 - 배터리 상태 ] 보다 훨도 명확하다고 할 수 있어요

- 우측 상단으로 방문기록의 표시를 구분 // 슬라이딩으로 삭제 // 내가 직접 몽땅 삭제하기 전까진 몇달까지 계속 기록

 

- 전류 - 충전중, 사용중 구분이 되며, 일자+시간 으로 구분 및 하단의 1,10,60,360분으로 통계치 계산 표시

- 핸폰 설정의 배터리 상태보다 훨더 보기 편합니다 충전, 방전이 하단의 최소, 최대, 평균으로 좀 더 자세히 구분

 

- 전류 - 충전, 방전의 ma 수치 / qc3 = 1500ma(최대) 기준으로 참고 하시고 미사용 소모율의 경우 300ma 이하가 아주 좋습니다. 140ma의 제 기준을 최적이죠 평소 200, 300 이하니 미사용은 대기 사용 시간이 길어지는 거죠 

 

- 3번 진행중 - 현 상황의 충전중, 사용중으로 구분해서 통계 표시

 

- 4번 온도 - 온도 기준의 자세한 그래프가 최대 24시간, 최소~최대, 평균, 온도 알람은 해두면 참고하기 좋아요

 

- 24시간의 경우 / 굳이 볼 필요가;;

- 5번 건강 - 배터리 건강 상태의 자세한 사이클과 1일당 기록의 분석 통계

 

(●'◡'●) ♥🤞와 👍좋아요 눌러주세요
문의는 댓글에...
728x90
728x90
LIST